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QnA로 알아보는 가계대출 규제 총정리 (2025년 6월 기준)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을 통해 창의적으로 부를 창조하는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유하는 크리부예요.

 

2025년 6월, 정부는 강도 높은 가계대출 규제안을 발표하며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특히 고소득자와 다주택자까지 포괄하는 이번 조치는,

수도권 부동산 과열 양상을 제어하기 위한 긴급 처방으로 해석됩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QnA 형식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Q1. 다주택자는 앞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수도권 및 규제 지역 내에서 2주택 이상 보유자가 추가 주택을 구입할 경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LTV 0%**가 적용되어 대출이 원천 차단됩니다.

 

1주택자도 추가 매입은 불가합니다.

 


Q2. 갈아타기 위한 일시적 2주택자는 예외인가요?

A. 예외적으로 주담대가 허용되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기존 주택을 **6개월 내 처분(명의이전 완료)**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대출금 회수 + 3년간 주담대 금지라는 중징계가 따릅니다.

 


Q3. '6억원' 주담대 한도란?

A. 수도권 및 규제 지역에서 집값이 얼마든, 최대 6억원까지만 주담대 가능합니다.

 

중도금 대출은 예외지만, 잔금대출 전환 시 6억 한도 적용됩니다.

실질 대출 가능 금액은 LTV, DTI, DSR 등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Q4. 실제 대출 한도는 얼마나 줄어드나요?

예시를 통해 보면:

  • 연봉 2억, 20억 집 구매 시
    • 기존: 약 13억9,600만 원 대출 가능
    • 변경 후: 최대 6억7억9,600만 원 감소

 

  • 연봉 1억, 10억 집 구매 시
    • 기존: 약 6억9,800만 원 가능
    • 변경 후: 6억 → 9,800만 원 감소

Q5. 수도권 거주자는 ‘전입 의무’도 있나요?

A. 네. 수도권 및 규제 지역에서 주담대를 받을 경우,

6개월 이내 전입이 의무화됩니다.

 


Q6. 주담대 만기 및 생활안정자금 관련 규제는?

  • 주담대 만기: 30년 이내로 제한 (기존엔 은행별 30~40년)
  •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최대 1억원으로 축소
  • 디딤돌/버팀목 대출 한도: 각각 5천만~1억원, 4천만~6천만 원 축소

Q7. 기존 대출을 증액하거나 대환하면?

  • 증액/타은행 대환 시: 강화된 규제 적용
  • 증액 없이 기한 연장 또는 조건 변경만 있을 경우: 기존 규제 적용 (예: 전세대출 연장, 신용대출 만기 연장 등)

Q8. 신용대출도 제한되나요?

A. 네. 신용대출 한도는 연소득 이내로 제한됩니다.

 

과거에는 은행별 기준에 따라 연소득의 1~2배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소득 수준 이상의 신용대출이 불가능합니다.

 

 


마무리

이번 대출 규제는 고소득자, 다주택자, 갈아타기 수요자 모두를 겨냥하고 있어, 시

장 전반의 구매력 위축이 예상됩니다.

 

특히 투자 목적 수요는 사실상 차단되며, 실수요자 중심의 정책 기조가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부동산 꿀팁을 짧은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https://www.youtube.com/@Crebutv

 

크리부TV

분양광고 카피라이터이자 공인중개사인 크리부가 부동산 분양 경매 등의 정보와 투자 꿀팁을 제공합니다. nppoppi71@naver.com

www.youtube.com

 

 

반응형